머리카락과 품위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머리카락을 아주 소중히 여겨왔습니다. 동물의 세계에서도 깃털을 고르고 다듬어 세운 개체가 무리의 대장이 되듯, 사람도 머리를 어떻게 손질했는지가 곧 품위와 지위의 상징이었습니다. 왕실에서는 머리 모양과 장식, 그리고 의복의 형태에 따라 신분이 구분되었으며, 과거에는 머리를 자른다는 것 자체가 큰 죄를 의미했습니다. 실제로 머리를 자르는 것은 죽을죄를 지은 죄인에게나 허용되던 일이었습니다. 우리나라가 2차 세계대전이 오기 전, 외세의 영향으로 머리를 자르게 되었고, 그 기운이 이어져 6.25 전쟁이라는 큰 시련까지 겪게 되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머리를 자르지 않았다면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를 전쟁이었습니다. 머리를 자르게 한 것은 일본이었고, 이는 곧 우리 민족이 인류의 큰 죄를 대신 짊어진 민족이라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머리를 손질한다는 것은 삶을 잘 살아가고 있다는 상징입니다. 죽을죄를 지었지만 죽지 않고 살아남은 이들은 삭발을 하고 산에 들어가 수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삭발하고 산에 들어간다는 것은 매우 무겁고 절실한 결심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 상황이 아니고서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어쩌면 이들은 세상에 대한 욕심이 많아 결국 산속으로 쫓겨났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잘난 생각에 스스로 빠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산속에서 스스로의 욕심을 내려놓게 되면, 머리에 대한 집착 또한 사라지게 됩니다. 그렇게 머리를 기르게 되고, 세상으로 다시 나올 준비가 되는 것입니다. 여성들이 마음이 흔들릴 때, 마음이 갈 바를 잡지 못할 때 종종 머리를 자르거나 만지는 행동을 하게 됩니다. 이는 내면의 변화와 위기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본질적으로는 자신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신분을 낮추는 선택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머리를 자르면 자신의 기운이 떨어질 수도 있고, 자칫 천박해질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기운이 왕성하고 삶의 방향이 뚜렷할 때는 머리를 손질하게 되고, 품위가 드러납니다.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