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과 품위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머리카락을 아주 소중히 여겨왔습니다. 동물의 세계에서도 깃털을 고르고 다듬어 세운 개체가 무리의 대장이 되듯, 사람도 머리를 어떻게 손질했는지가 곧 품위와 지위의 상징이었습니다. 왕실에서는 머리 모양과 장식, 그리고 의복의 형태에 따라 신분이 구분되었으며, 과거에는 머리를 자른다는 것 자체가 큰 죄를 의미했습니다. 실제로 머리를 자르는 것은 죽을죄를 지은 죄인에게나 허용되던 일이었습니다.

우리나라가 2차 세계대전이 오기 전, 외세의 영향으로 머리를 자르게 되었고, 그 기운이 이어져 6.25 전쟁이라는 큰 시련까지 겪게 되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머리를 자르지 않았다면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를 전쟁이었습니다. 머리를 자르게 한 것은 일본이었고, 이는 곧 우리 민족이 인류의 큰 죄를 대신 짊어진 민족이라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머리를 손질한다는 것은 삶을 잘 살아가고 있다는 상징입니다. 죽을죄를 지었지만 죽지 않고 살아남은 이들은 삭발을 하고 산에 들어가 수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삭발하고 산에 들어간다는 것은 매우 무겁고 절실한 결심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 상황이 아니고서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어쩌면 이들은 세상에 대한 욕심이 많아 결국 산속으로 쫓겨났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잘난 생각에 스스로 빠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산속에서 스스로의 욕심을 내려놓게 되면, 머리에 대한 집착 또한 사라지게 됩니다. 그렇게 머리를 기르게 되고, 세상으로 다시 나올 준비가 되는 것입니다.

여성들이 마음이 흔들릴 때, 마음이 갈 바를 잡지 못할 때 종종 머리를 자르거나 만지는 행동을 하게 됩니다. 이는 내면의 변화와 위기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본질적으로는 자신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신분을 낮추는 선택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머리를 자르면 자신의 기운이 떨어질 수도 있고, 자칫 천박해질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기운이 왕성하고 삶의 방향이 뚜렷할 때는 머리를 손질하게 되고, 품위가 드러납니다. 머리는 그 사람의 상태와 위치, 품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며, 한 사람의 벼슬이나 역할까지 상징하게 됩니다. 따라서 머리를 함부로 자르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편하게 머리를 치는 것은 노동을 하는 이들이 하는 것이고, 바르게 손질하여 품위 있게 외출을 한다면, 오히려 기운이 살아나게 됩니다.

한복도 마찬가지입니다. 한복은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모두 갖추었을 때 어울리는 옷입니다. 어느 한 부분이라도 빠지면 조화를 잃게 되는 것이 한복입니다. 한복에는 다양성이 있습니다. 일할 때 입는 옷, 맵시를 내는 옷, 품위와 위엄을 드러내는 옷이 따로 있습니다. 무언가를 가르치고 이끄는 일을 하는 사람은 단정하고 바르게 의복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 지도자들이 다시 등장하게 되면, 우리의 전통 복식인 한복도 지금 우리에게 맞게 다듬어 입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한복은 아주 잘 어울리는 의복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한복은 일꾼이 입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옷입니다.

머리는 소중히 여겨야 하며, 앞으로 지도력을 갖고 지도자의 길을 걸으려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생김새도 바르게 갖추어야 합니다.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은 뒤에 뽀글이 파마를 하는 경우는 대부분 자신의 편의를 위한 선택입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격식을 갖춘 집안에서는 아이를 유모가 키워야 하고, 어머니는 자기 자신을 다듬으며 성장해야 합니다. 남편이 성장해 나가는 사람이라면, 아내도 그에 맞춰 자신을 갖추고 공부를 계속해야만 높은 자리에 올라 함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돈을 아끼려고만 하지 말고, 때로는 그 돈으로 자신을 갖추는 데 사용해야 합니다. 그렇게 갖춘 자신은 더 큰 가치를 만들어내고, 그 돈은 언젠가 다시 돌아오게 되어 있습니다. 자신이 만나고자 하는 사람의 품격에 자신이 어울리는지를 먼저 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남편의 격에 자신이 맞지 않으면, 결국 그 자리를 내어주고 물러날 수밖에 없게 됩니다. 그러니 지금부터라도 자신의 품위와 태도를 갖추어 나가는 일이 중요합니다. 그것이 진정으로 자신과 가정을 위한 길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진정한 봉사란 무엇인가

매이지 말고 살아가기